서울 아파트 전셋값 1억 폭등!... 정부 규제의 '의도치 않은 참사'

한국부동산원 자료에 따르면 6월 서울 주택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24% 상승해 상승폭이 확대됐다. 특히 아파트 전셋값은 0.33% 올라 전체 상승세를 주도했으며, 서초구(-0.3%)를 제외한 서울 24개 자치구의 전셋값이 모두 상승했다. KB부동산 통계에서도 비슷한 추세가 확인됐는데, 수도권 전세가격지수는 0.17% 올라 23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고, 서울은 0.29%, 경기도는 0.12% 상승했다.
하반기 전세 시장의 핵심 변수는 공급 부족으로 지목된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하반기 서울 아파트 입주 예정 물량은 1만4043가구로, 상반기 대비 20.4%, 지난해 하반기보다 29.1% 감소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입주 물량 감소가 전세 물건 부족과 가격 상승, 월세 전환을 동시에 자극하고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가을철 이사 수요까지 겹칠 경우 수급 불균형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된다.

현장의 목소리도 이를 뒷받침한다. 서울 강동·송파·서초 등 주요 지역 공인중개업소들은 규제 이후에도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고 전한다. 강동구 고덕아르테온 인근 M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지하철역 가까운 단지들은 규제 이후에도 거래가 줄었을 뿐 가격은 오히려 올랐다"며 "매매 가격은 한 달 전보다 1억~2억원 상승했고, 전셋값도 연초 대비 5000만~1억원 오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전세 매물 감소 현상도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부동산 정보 플랫폼 '아실'에 따르면 7월 15일 기준 송파구 전세 매물은 1245건으로 6개월 전(2643건)보다 52.9% 급감했다. 강동구 역시 연초 3680건에서 현재 903건으로 75% 가까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규제 정책이 오히려 전세난을 가중시킬 수 있다고 경고한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교수는 "전세대출 규제로 수요가 줄면 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지만, 현실에선 반전세로 전환되며 전세·월세 모두 오를 가능성이 크다"며 "지금처럼 공급이 부족한 시기엔 수요 감소만으로 가격을 잡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도 "정부가 매수 억제에만 무게를 두면 전·월세 시장의 불안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결국 대출 규제라는 수요 억제 정책만으로는 공급 부족 상황에서 전세 시장 안정화를 이루기 어렵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 barunilbo.com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 당뇨환자 '이것' 먹자마자..바로
- 내장지방,원인은 비만균! '이것'하고 쏙쏙 빠져…
- 로또 용지 찢지 마세요. 사람들이 모르는 3가지!!
- 백만원 있다면 당장 "이종목" 사라! 최소 1000배 이상 증가...충격!!
- 서울 전매제한 없는 부동산 나왔다!
- 일자리가 급급하다면? 月3000만원 수익 가능한 이 "자격증" 주목받고 있어..
- 주름없는 83세 할머니 "피부과 가지마라"
- 코인 폭락에.. 투자자 몰리는 "이것" 상한가 포착해! 미리 투자..
- 한달만에 "37억" 터졌다?! 매수율 1위..."이종목" 당장사라!
- 비트코인으로 4억잃은 BJ 극단적 선택…충격!
- 목, 어깨 뭉치고 결리는 '통증' 파헤쳐보니
- "빠진 치아" 더 이상 방치하지 마세요!!
- 부족한 머리숱,"두피문신"으로 채우세요! 글로웰의원 의)96837
- “고양시 지식산업센터” 1년후 가격 2배 된다..이유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