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I도 못 찾는 암, 색깔로 찾아낸다!... 한국 과학자들의 세계를 놀라게 한 발견

포스텍은 17일, 장영태 화학과·융합대학원 교수팀과 하형호 순천대 약대 교수팀이 중국 린이대, 난방과기대 연구팀과의 국제 공동연구를 통해 색깔로 간암을 식별하는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지난해 12월 16일 국제 학술지 'ACS 센트럴 사이언스'에 게재되어 과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간은 우리 몸에서 영양소를 저장하고 독소를 해독하는 핵심 장기로, 간암은 초기에 발견해 수술로 제거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현재는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단층촬영(CT) 같은 영상 검사와 혈액 검사를 통해 간암을 진단하고 있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수술 시 암 조직과 정상 조직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로 인해 암 조직을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거나 반대로 건강한 조직까지 과도하게 제거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8000개 이상의 형광물질을 철저히 조사했다. 그 결과, 간암 세포에만 특이적으로 달라붙어 초록빛을 발하는 'cLG(cancerous Liver Green)'와 건강한 간세포에서만 빨간빛을 내는 'hLR(healthy Liver Red)'이라는 두 가지 형광물질을 선별하는 데 성공했다.

이 두 형광물질의 작용 원리는 각각 다른 생체 표적에 기반한다. cLG는 간암 세포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FATP2'라는 지방산 운반 단백질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반면 hLR은 건강한 간세포에 많이 분포하는 'SMPD1'이라는 효소와 결합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연구팀은 이 두 형광물질을 함께 사용했을 때, 간암 조직과 정상 조직의 경계가 놀라울 정도로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기존의 MRI나 CT로는 발견이 어려웠던 작은 크기의 초기 간암도 이 기술을 통해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장영태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간암 진단의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일 뿐만 아니라, 수술 중에도 형광을 따라가며 암 조직만 정밀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혁신적인 기술"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 기술이 실제 임상에 적용된다면, 간암 환자들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초기 간암을 더 정확하게 발견할 수 있게 되면 조기 치료가 가능해지고, 수술 시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암 조직만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 기술의 임상 적용을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며, 간암 외에도 다른 종류의 암에도 유사한 원리를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할 예정이다.
[ barunilbo.com 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
- 31살에 29억 벌고 먼저 은퇴해, 비법없고 규칙만 지켰다!
- 내장지방,원인은 비만균! '이것'하고 쏙쏙 빠져…
- 대만에서 개발한 "정력캔디" 지속시간 3일!! 충격!!
- 新 "적금형" 서비스 출시! 멤버십만 가입해도 "최신가전" 선착순 100% 무료 경품지원!!
- 월수익 3000만원 가능하다!? 고수입 올리는 이 "자격증"에 몰리는 이유 알고보니…
- 주름없는 83세 할머니 "피부과 가지마라"
- 코인 폭락에.. 투자자 몰리는 "이것" 상한가 포착해! 미리 투자..
- 환자와 몰래 뒷돈챙기던 간호사 알고보니.."충격"
- "관절, 연골" 통증 연골 99%재생, 병원 안가도돼... "충격"
- 공복혈당 300넘는 '심각당뇨환자', '이것'먹자마자
- “빚 없애라” 신용등급 상관없이 정부서 1억지원!
- 비x아그라 30배! 60대男도 3번이상 불끈불끈!
- 2021년 "당진" 집값 상승률 1위..왜일까?
- “서울 천호” 집값 국내에서 제일 비싸질것..이유는?